본문 바로가기

Tableau14

[Tableau] 태블로 신병훈련소12기 2일차 - 계산된 필드 만들기 태블로신병훈련소 2일차 강의에서 계산된 필드 만들기를 활용하여 막대그래프로 표현하겠습니다. 스타벅스 메뉴 데이터를 활용하겠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데이터패널에서 ▼를 클릭합니다. 클릭 후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계산된 필드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계산된 필드 만들기를 누르면 필드명 수식을 입력합니다. IF문을 활용하겠습니다 IF문은 IF 조건 THEN 결과1 ELSE 결과2 END 와 같이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지정 카페인 용량이라는 계산 필드를 작성하여 카페인 평균이 80이상인 경우 "카페인 > 80mg"로 표시하고 그 외의 경우는 "카페인 2022. 1. 17.
[Tableau] 태블로 신병훈련소12기 2일차 - 칼로리 박스 플롯 태블로 신병훈련소를 참여하면서 2일차 과제로 박스플롯으로 표현하겠습니다. 데이터 분포 상태와 이상치를 동시에 보여주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입니다. 스타벅스 메뉴 데이터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우선 카테고리를 열선반에 칼로리를 행선반에 올려놓겠습니다. 그리고 마크의 형태를 원으로 변경하겠습니다. 칼로리를 기준으로 색상을 변경하기 위해 칼로리를 마크의 색상에 올려놓겠습니다. 메뉴명을 마크의 세부정보에 올려놓으면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분석패널로 들어가겠습니다. 분석패널의 박스플롯을 시트에 드래그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시트에 끌어오면 박스플롯추가의 셀이라는 기준에 올려놓습니다. 그리고 보기 좋게 마크의 크기에서 원의 크기를 줄여줍니다. 그리고 칼로리가 높은 색은 붉은색으로 칼로리가 낮.. 2022. 1. 17.
[Tableau] 태블로 신병훈련소12기 2일차 - 워드클라우드(칼로리) 태블로 신병훈련소12기 2일차를 수강하면서 워드클라우드로 칼로리별 메뉴를 표현해보겠습니다. 칼로리가 높은 메뉴를 한눈에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스타벅스 메뉴 데이터를 활용해보겠습니다. 마크에서 메뉴명을 텍스트에 올려놓습니다. 마크를 텍스트로 수정하겠습니다. 그리고 칼로리별 색상과 크기를 구분하기 위해 마크의 색상과 크기에 칼로리를 올려놓겠습니다. 태블로 오른편에 합계(칼로리)에서 색상편집을 선택합니다. 색상표에서 빨간색-파란색-다중을 선택하고 반전을 선택합니다. 다음과 같이 칼로리가 높으면 붉은색, 낮으면 파란색으로 표현하게 만들어줍니다 그 결과 칼로리가 높은 메뉴가 진한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주 까망 크름 프라푸치노가 높은 칼로리를 가진 것은 워드클라우 형태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 2022. 1. 17.
[Tableau] 태블로 신병훈련소12기 1일차 - 시도 별 매장 위치 태블로 신병훈련소 12기 1일차 과제 내용입니다. 스타벅스 매장 정보를 위도/경도 데이터를 이용해서 서울시의 실제 매장 위치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시도 별 매장위치를 맵차트를 통해 작성해보겠습니다. 우선 테이블에서 위도와 경도를 각각 더블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열선반과 행선반에 위도와 경도가 자동적으로 생성됩니다. 그리고 매장명을 마크의 세부정보에 올려놓습니다. 다음과 같이 나타난 매장정보를 서울시만 보이도록 하겠습니다. 시도를 필터에 올려놓도록 하면 다음과 같이 창이 나타납니다. 창에서 서울시만 클릭하여 확인하겠습니다. 서울시만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이렇게 마지막으로 시도 별 매장 위치를 만들어보았습니다. 2022. 1. 17.
[Tableau] 태블로 신병훈련소12기 1일차 - 시군구 별 스타벅스 매장 수 태블로 신병훈련소 1일차를 수강 후 과제로 시군구 별 스타벅스 매장 수를 시각화하겠습니다. 스타벅스 매장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겠습니다. 경도를 열선반에, 위도를 행선반에 올려놓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맵차트가 형성됩니다. 매장코드를 기준으로 분류하기 위해 매장코드를 마크의 색상과 크기에 올려놓습니다. 그리고 측정값을 카운트로 수정합니다. 색상편집을 오른쪽 카운드(매장코드)를 선택하여 색상편집을 통해 변경하겠습니다. 색상표에서 일출-일몰 다중으로 선택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맵차트에서 원들의 색상이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크의 색상을 선택하여 불투명도를 50%로 수정하겠습니다. 테두리 효과를 추가하여 검정색으로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맵차트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통해 맵차트.. 2022. 1. 17.